Thank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Thanks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88)
    • 파이썬_python (6)
      • 참고자료 (0)
      • 정리한자료 (0)
    • command (12)
      • CLD (0)
    • 보안 (63)
      • 보안관리사 (20)
      • unix(유닉스) (25)
      • java (49)
    • 금융과부동산 (249)
      • 금융경제용어 (46)
    • 보도자료모음 (34)
      • 한국은행 (8)
      • 국제금융연구원 (5)
      • KDI (4)
      • 국토교통부 (5)
      • 국가정책연구포털 (0)
      • 기획재정부 (2)
      • 금융감독원 (6)
      • 국토정책연구원 (1)
      • 금융상품소개 (1)
      • 금융위원회 (1)
      • nice (0)
    • 현대연구원 (0)
    • 기술사 (4)
      • 2020 (4)
    • 자료경로보관 (0)
    • 비공개 (1)
    • 데이터베이스 (2)
      • oracle (2)
      • ms-sql (0)

검색 레이어

Thank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금융과부동산

  • 2021.01.14 요구불예금이란

    2021.01.14 by MustThanks

  • 2021.01.13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간접세/직접세

    2021.01.13 by MustThanks

  • 2021.01.13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간접금융/직접금융

    2021.01.13 by MustThanks

  • 2021.01.13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가상통화공개(ICO)

    2021.01.13 by MustThanks

  • 2021.01.11 공매도 3월 재개

    2021.01.11 by MustThanks

  • 2021.01.11 세입자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여부 기재

    2021.01.11 by MustThanks

  • 2021.01.11 금감원의 은행권 긴급 소집

    2021.01.11 by MustThanks

  • 2021.01.11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가상통화

    2021.01.11 by MustThanks

2021.01.14 요구불예금이란

요구불예금이란 요구불예금 - 입금과 출금이 자류로운 예금 * 요구불예금은 자유롭게 입금과 출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돈을 보관해야 할 때 이용하는 것이 좋음 * 일반적으로 개인이 가입하는 보통예금과 기업의 자유예금 수시 입출금 예금이 요구불 예금에 해당 * 요구불예금이 이자가 없거나 매우 낮은 특징이 있음

금융과부동산/금융경제용어 2021. 1. 14. 09:50

2021.01.13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간접세/직접세

2021.01.13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간접세/직접세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간접세/직접세 직접세 -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여 조세부담이 전가되지 않는 조세 -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등이 있다 간접세 -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지 않고 조세의 부담이 타인에게 전가되는 세금 -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등 * 간접세 - 조세에 대한 저항이 적고 징수가 간편하여 조세수입의 확보가 용이 - 개인의 사정을 고려할 수 없으므로 누진세율을 적용하지 못하고 비례세율이 적용하지 못하고 - 비례세율이 적용됨으로써 소득이 적은 자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조세부담률이 적용되는 역진성을 띠게 되어 공평부담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단점 국민계정체계에서는 조세의 실..

금융과부동산/금융경제용어 2021. 1. 13. 19:53

2021.01.13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간접금융/직접금융

2021.01.13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간접금융/직접금융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간접금융/직접금융 간접금융 - 경제에서 자금 잉여주체와 자금 부족주체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들 사이에 은행이나 저측은행 신용협동기구 등 금융기관이 개입하여 자금을 중개하는 방식을 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이라고 한다 - 금융기관이 일반 대중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를 자신의 명의로 기업 등 다른 경제주체에게 대출해 주는 방식 직접금융 - 주식, 채권발행의 경우와 같이 자금 수요자가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금융시장에서 직접 필요한 자금을 조달 하는 방식을 직접금융(direct financing)이라고 한다 * 간접금융에서는 은행이 중추적인 기능 * 직접금융에서는 주식과 채권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이 ..

금융과부동산/금융경제용어 2021. 1. 13. 00:58

2021.01.13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가상통화공개(ICO)

2021.01.13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가상통화공개(ICO)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중 가상통화공개(ICO) 가상통화(ICO : Initial Coin Offering)공개 - 주로 혁신적인 신생기업(startup)이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 또는 디지털 토큰(digital token : 일종의 투자증명)을 이용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의 한 방식 - 새로 밣생된 암호화화폐는 법화(legal tender) 또는 비트코인 등 기존의 가상 통화와 교환되어 투자자에게 팔린다. - 거래소에 상장하려는 기업이 투자자에게 자기 주식을 처음 공개적으로 매도하는 기업공개(IPO : Initial Public Offering)에서 연유되었다고 볼수 있..

금융과부동산/금융경제용어 2021. 1. 13. 00:57

2021.01.11 공매도 3월 재개

금융위원회 2021년 3월 공매도를 재개 목표로 제도 개선 마무리 입장 코로나19로 인한 한시적 공매도 금지 조치는 3월 15일 종료될 예정 3월 공매도 재개를 목표로 불법 공매도 처벌 강화, 시장 조성자 제도 개선, 개인의 공매도 접근성 제고 등 제도 개선을 마무리해 나갈 계획 결정된 것은 없고 시장 상황을 봐야한다는 것이 입장 균형을 잡는 차원에서 3월 15일 공매도 금지 조치가 종료될 예정 다시 한 번 공지 3월 재개를 목표로 제도 개선을 차질 없이 마무리 한다는 의지

금융과부동산 2021. 1. 11. 23:03

2021.01.11 세입자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여부 기재

집 매매 계약서에 세입자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여부 기재 국토교통부 2021.01.11 '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 발표 - 2021.01.13 부터는 공인중개사가 세입자가 있는 주택의 매매를 중개할 때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여부를 매도인에게 명확하게 확인하고 그 내용을 서류에 명시 - 주택 매매 시 중개사가 매도인으로부터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여부를 확인하는 서류를 받도록 하였음 - 세입자가 계약갱신청구권 행사를 완료한 경우 갱신 후 임대차 기간을 명시 -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에도 세입자의 권리 행사 여부가 표시 - 공인중개사 업무정지 기준에 가중·감경 사유가 추가

금융과부동산 2021. 1. 11. 12:34

2021.01.11 금감원의 은행권 긴급 소집

2021.01.11 금감원의 은행권 긴급 소집 금감원 - 은행권 소집이유는 대출 상황을 파악이 일 순위 일 것 같으며 신용대출 규제 조치는 내용파악 후 이루어 질 것 같음 - 개인 신용대출 잔액 5대 시중은행만 2021년 1주일만에 4533억원 증가 - 마이너스 통장 7000여개 신규 개설 - 기존 마이너스 통장에서 인출 건수도 지난해 말보다 증가된 하루 2000건으로 추정 * 코스피에 개인들이 주식투자 자금을 신용대출이나 마이너스 통장에서 끌어다 쓴다는 분석 - 5대 은행 신용대출 잔액 = 2020년 12월 말 133조6482억원 = 2021년 1월07일 134조1015억원 2020년 12월말 대비 4533억원 증가 참고) 2020년 12월 금융권의 행보 연소득 80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에게 1억원 ..

금융과부동산 2021. 1. 11. 12:02

2021.01.11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 가상통화

2021.01.11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중 일부 가상통화 -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아닌 민간에서 블록체인을 기반기술로 하여 발행,유통되는 가치의 전자적 표시(digital reprsntation of value)로서 비트 코인이 가장 대표적인 가상통화 - 비트코인 등장 이전에는 법적 근거 없이 민간기업이 발행하고 인터넷공간에서 사용도는 사이버머니(게임머니 등)나 온 오프라인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포인트를 가상통화로 통칭하였다 - 2009년 비트코인이 등작하면서 가상통화의 개념이 변호되고있다 - 비트코인은 블록체인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중앙운영기관 없이 P2P(peer-to-peer)거래가 가능한 분산형 시스템을 통해 발행 유통된다는 점에서 발행기관이 중앙에서 발행 유통을 통제하는 기존의 사이버..

금융과부동산/금융경제용어 2021. 1. 11. 11: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32
다음
TISTORY
Thanks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