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력난 해결을 위한 산시성 탄광 일부 중단 [2021.10.11]
* 중국의 전력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 호수산 석탁 수입 재개
- 카자흐스탄 석탄 수입 재재
* 중국 겨울을 나기 위해서
- 천연가스 수입을 느리고 있음
- 유럽도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고 있음
* 중국 전력난으로 인한 석탄 생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 산시성 폭우
- 탄광 생산 중단
- 2021.10.02 과 2021.10.03에 내린 비의 영향으로 2021.10.04 27곳의 생산이 중단
- 화학공장 7곳 생산 중단
- 광광지 74곳 폐쇄 와 만여명 대피
- 산사태에 따른 교통 두절 다수 발생
* 탄광 생산 중단을 해결하기 위한 중국의 대처 방안
- 네이멍구(내몽골) 자치구(2021.10.07 지시) 지역의 탄광에 석탄 생산 능력을 9,800만여 톤으로 증가하도록 지시
- 네이엄구의 생산량을 연간 50%증가를 지시한 것임
* 산시성의 생산량
- 연간 생상량 9억7천만톤 으로 중국의 2대 생산지
- 구조조정을 통해서 7곳에서 2곳으로 국유기업을 재편
* 중국 2016년 부터 석탄업계의 구조 조정
- 수입산이 더 가격이 싸 수입하지만 내부 생산을 많이 줄이지 못함(정치적인 이슈 - 급여 근로자 보존 - )
*중국의 전력난이 발생한 원인
- 석탄 가격 상승과 남부 지방의 무더운 날씨
- 중국 9월까지 무더운 날씨로 냉방용 전력이 필요하여 많은 석탄을 소모
- 동북 3성 지역의 풍속이 줄어 들어 풍력 발전량이 줄어듬
- 윈난성의 가뭄으로 수력 발전량 줄어듬
- 백신으로 인한 경제안정으로 보다 많은 에네지 소비
- 중국의 채굴회사의 규모가 작으며 자동화 비율이 낮음(극복하기 위해 회사를 합병하여 규모를 키움)
- 중국의 수동화로 인한 수요의 증가시 탄력적인 지원이 어려움
대출 동시 차입 비중[2021.10.19] (0) | 2021.10.19 |
---|---|
실거래 신고 후 취소 19만건 에 근접 [2021.10.15] (0) | 2021.10.15 |
삼성전자] 파운드리 내년 상반기에 차세대 GAA(Gate-All-Around) 기반의 3나노미터(nm) 반도체 양산 공개[2021.10.09] (0) | 2021.10.09 |
미국 공화당의 채무상한선 극적 제안 [2021.10.06] (0) | 2021.10.08 |
중국 호주 석탄수입 재개 한 듯[2021.10.06] (0) | 2021.10.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