핌코(미국 채권 운용사) 의 중국 신용 축소의 시사점 보고서 발표
중국 인민은행 부양책을 조기에 줄이기 시작한 것은 오랫동안 선진국의 정책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음
*중국의 신용 긴축 2021년 초부터 진행
- 중국 증시 상승세 둔화
- 중국 유동성 회수는 중국 금융시장에 많은 단기 변동성을 생성할 수 있수도 있음
- 중국 유동성 회수는 세계 경제 회복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
- 영향으로 미국 등 선진국들의 경기 부양책이 장기화될 수 있음
*중국 금융당국
- 은행들에 신용 버블에 의한 위험 축소를 위해 대출잔액을 줄이도록 지시
- 인민은행이 대출총액을 억제하도록 지시
*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은보감회)
- 사업대출을 투자 목적으로 유용하는 사례를 조사중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 리커창 총리 2021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 6.0% 이상 제시하여 IMF와 투자은행들 보다 보수적인 목표
- 국제통화기금(IMF),투자은행들 연 8% 예상
-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 3.2%(지난해보다 0.4% 축소)
- 지방정부 특수채 발행규모 3조6500억위안(2020년보다 1000억 위안 낮음)
중국경제의 연착률 근거
* 중국의 경제와 은행은 더 커지고 건실해지었음
* 팬데믹을 잘 관리하고 있음
* 경제가 서비스와 소비에의해서 주도되고 있음
투자에서 생각해 볼만한 내용
* 중국 채권의 큰 스프레드 기회(중국 채권은 많이 건전해 지었음)
* 미국의 관세 완화가 있으면 통화 상승의 가능서이 있어 위안화는 투자의 매력이 있음
* 원자재 가격이 중국의 신용 임펄스 변화에 매우 민감하나 선진국 경제 수요의 반등이 예상되어 신용 임펄스 하락위험이 적음
* 중국이 긴축이 되면 선진국은 부양책 정책이 오랜시간이 필요
2021.03.14 금리상승으로 가계 부채 시한폭탄 (0) | 2021.03.14 |
---|---|
2021.03.10 은행의 신용 대출이 증가 되는 현상이 보임 (0) | 2021.03.10 |
2021.03.08 한국토지주택공사(LH) 투기 의혹 조사 (0) | 2021.03.08 |
2021.03.08 미국 국채 금리 동향 (0) | 2021.03.08 |
2021.03.06 금리 변동에 대한 정리 (0) | 2021.03.06 |
댓글 영역